호쿠리쿠 지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쿠리쿠 지방은 일본 혼슈 중부의 북쪽에 위치하며, 니가타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을 포함한다. 지리적으로 험준한 산맥과 넓은 평야, 긴 해안선, 그리고 세계적인 폭설이 특징이며, 에도시대 저술 『북월설보』와 소설 『설국』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역사적으로는 정토진종의 영향이 컸으며, 전국 시대에는 각 지역 세력 간의 갈등이 격렬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행정 구역 개편과 철도 건설을 통해 경제 체제가 변화했고, 태평양 전쟁 이후 인구 감소와 국토 균형 발전 정책의 영향을 받았다. 현재는 화학, 의약품, 관광, 섬유, 농업 등이 주요 산업이며, 고시히카리 쌀이 유명하다. 교통은 철도, 도로, 항만, 공항 등이 발달했으며, 특히 니가타 항은 국제 무역의 거점이다. 호쿠리쿠 3현(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은 상호 연계가 깊고, 언론, 금융, 전력, 고용 등에서 특징적인 모습을 보이며, 자유민주당의 강세 지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쿠리쿠 지방 - 고시국
고시국은 7세기 후반 일본에 존재했던 국가로, 여러 기록에서 다르게 표기되었으며, 야마토 왕권의 지배가 미치지 못한 일본해 연안 지역이었으나 다이카 개신 이후 여러 개의 국으로 분할되었고, 그 명칭은 현재까지도 다양하게 사용된다. - 호쿠리쿠 지방 - 호쿠신에쓰 지방
호쿠신에쓰 지방은 일본 중부지방에서 도카이 지방과 야마나시현을 제외한 지역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스포츠 경기 지방 예선 등에서 주로 사용되며, "북신에쓰", "호쿠리쿠신에쓰", "신에쓰호쿠리쿠" 등 다양한 명칭과 범위가 기관이나 단체에 따라 다르므로 사용 시 공식 자료를 참고해야 한다. - 일본의 지역 - 고신에쓰 지방
고신에쓰 지방은 일본의 지역으로, 은제품, 전자제품, 정보기술 등을 중심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며, 인구 감소를 겪고 있고, 다양한 방언이 사용된다. - 일본의 지역 - 도카이 지방
도카이 지방은 일본 중부 지방에 위치하며 아이치현, 기후현, 미에현, 시즈오카현을 포함하고 자동차 산업과 주쿄 공업 지대가 발달했으며, 나고야시를 중심으로 교육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 주부 지방 - 나가노 방송
나가노 방송(NBS)은 1969년 개국한 후지TV 계열의 나가노현 민영 방송국으로, 뉴스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컬러 방송 도입과 디지털 방송 개시 등 기술 발전을 이루었고 현재는 자체 제작 프로그램과 계열 프로그램을 통해 나가노 지역 사회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주부 지방 - 니가타 종합 TV
니가타 종합 TV(NST)는 니가타현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후지TV 단독 가맹 민영 방송국으로, 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의 영향력 아래 설립되어 보수적인 성향으로 인식되지만, 기술 현대화와 새로운 미디어 환경 및 ESG 경영에도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호쿠리쿠 지방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국가 | 일본 |
면적 | 25,205.60 km² |
국세조사 인구 | 5,444,797 명 (2010년 10월 1일) |
추계 인구 | 5,218,667 명통계일은, 니가타현이 2024년 2월 1일, 도야마현이 2024년 3월 1일, 이시카와현이 2024년 3월 1일, 후쿠이현이 2024년 3월 1일. |
인구 밀도 | 207 명/km² |
지리 | |
위치 | 주부 지방의 일부 |
구성 현 | 니가타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 |
관련 지역 | |
관련 지역 | 호쿠신에쓰 지방 고신에쓰 지방 신에쓰 지방 |
기타 | |
추가 정보 | 국토지리원의 https://www.gsi.go.jp/hokuriku/digitalmap-index.html 국립국회도서관의 https://crd.ndl.go.jp/reference/modules/d3ndlcrdentry/index.php?page=ref_view&id=1000184682 |
2. 지리
호쿠리쿠 지방은 일본해에 면하여 혼슈 중앙부 북쪽에 자리 잡고 있다. 세계적으로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기후적 특징은 지역의 생활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동서로 높은 산들이 이어져 있고, 이 산지에서 발원한 여러 강들이 일본해로 흘러들며 하류에는 비교적 넓은 평야 지대를 형성한다.
고대에는 '越国' 또는 '육도(くぬがのみち일본어)'라 불리며 기나이의 중앙 세력과는 다른 독자적인 문화를 가진 지방 세력으로 존재했다. 지리적 특성에 따라 동서 간 문화적 차이도 나타나는데, 니가타현을 포함한 동쪽 지역은 동일본의 연어 문화권의 성격이 강한 반면,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등 서쪽 지역은 서일본의 방어 문화권의 특징을 보인다.[22]
2. 1. 범위
호쿠리쿠 지방의 범위는 동서로 길게 뻗어 있으며, 니가타현에서 후쿠이현까지 약 400km에 달한다. 역사적으로는 고대의 '越国'라 불렸던 지역과 상당 부분 겹치며, 若狭国에서 越後国까지의 영역을 포함한다. 메이지 시대 무렵까지는 '호쿠로쿠(ほくろく일본어)'라고 읽었으며, 이 지역을 지나는 도로는 '에치로(越路|에치로일본어)' 또는 '北陸道'라고 불렸다.현대의 행정 구역상 호쿠리쿠 지방의 범위는 일본 중앙성청의 출선기관(지방분부국)별로 통일되어 있지 않다.[12] 예를 들어, 재무성 산하 관동재무국 등 일부 기관에서는 니가타현을 호쿠리쿠 지방이 아닌 관동지방, 광역관동권(관동갑신에쓰), 또는 신에쓰의 일부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 반대로 국토교통성 산하 긴키지방정비국 등에서는 후쿠이현을 긴키의 일부로 간주하기도 한다.
한편, 스포츠 대회나 국정 선거 등에서는 인구가 비교적 적다는 이유로 인접한 나가노현을 포함하여 호쿠신에쓰 지방으로 묶는 경우가 흔하다.
2. 2. 자연 환경

호쿠리쿠 지방은 사람이 거주하며 경작이 가능한 지역 중 세계적으로 눈이 많이 내리는 곳으로 유명하다. 이는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이 일본해를 건너오면서 다량의 습기를 머금게 되고, 이 습한 공기가 혼슈의 산맥과 부딪혀 상승하면서 눈으로 변해 내리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본해 쪽 기후의 영향으로 겨울철에는 폭설이 내리고, 봄에는 이 눈이 녹아 풍부한 수자원을 제공한다.
이 지역의 길고 눈 많은 겨울 생활상은 에도 시대 말기의 저술인 『북월설보』(北越雪譜|호쿠에쓰셋푸일본어)에 잘 묘사되어 있으며, 이 책은 특히 니가타현 미나미우오누마군 지역의 삶을 다루고 있다. 또한,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인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소설 『설국』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특히 니가타현의 미나미우오누마시와 조에쓰시 주변은 일본 내에서도 손꼽히는 폭설 지대로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스키장이 발달했다. 에치고유자와나 묘코 고원 등 대규모 스키 리조트가 이곳에 집중되어 있다. 다만, 해안가와 내륙 지역 간의 적설량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호쿠리쿠 지방의 대표적인 산으로는 일본 3대 명산으로 꼽히는 다테야마 연봉(도야마현)과 하쿠산(이시카와현·후쿠이현)이 있다.
구분 | 목록 |
---|---|
산맥 | 에치고 산맥, 미쿠니 산맥, 히다 산맥 (오야시라즈), 히다 고지, 료하쿠 산지 |
산 | 야히코산, 나에바산, 묘코산, 다테야마, 겐가쿠, 야쿠시다케, 쿠로베고로다케, 쇼세츠산, 시로우마다케, 고류다케, 카시마가리다케, 쿠레하야마, 시라키미네, 콘고도산, 이오산, 하쿠산, 노고 하쿠산 |
강 | 아가노가와, 시나노가와, 히메가와, 쿠로베가와, 카타카이가와, 하야즈키가와, 조간지가와, 진쓰가와, 쇼가와, 오야베가와, 테토리가와, 사이가와, 쿠즈류가와, 키타가와 |
평야 | 에치고 평야, 다카다 평야, 도야마 평야, 샤호 평야, 토이나미 평야, 오우치가타 평야, 가나자와 평야, 후쿠이 평야 |
분지 | 토오카마치 분지, 무이카마치 분지, 오노 분지 |
만 | 도야마만, 나나오만, 쓰쿠모만, 와카사만 (쓰루가만, 세쿠미만, 야시로만, 오바마만, 타카하마만, 우치우라만) |
호소 | 가모코, 사가타, 미쿠리가이케, 신유, 가마이케, 나와가이케, 키바가타, 시바야마가타, 키타가타코, 미카타 고호, 카리코미이케 |
2. 3. 자연재해
호쿠리쿠 지방이 피해를 입은 주요 자연재해는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은 주요 피해 지역)'''지진'''
발생 연월일 | 지진명 | 규모(M) | 사망자 수 | 주요 피해 지역 |
---|---|---|---|---|
1586년 1월 18일 | 텐쇼 지진 | 8.1 | 다수 | 전역 |
1640년 11월 23일 | 다이세이지 지진 | 6 | 다수 | 후쿠이·이시카와 |
1662년 6월 16일 | 관분 오미·와카사 지진 | 7.6 | 800명 | 후쿠이 |
1666년 2월 1일 | 에치고 다카다 지진 | 6.4 | 1,500명 | 니가타 |
1714년 4월 28일 | 시나노 오타니 지진 | 6.4 | 100명 | 도야마·니가타 |
1751년 5월 21일 | 에치고·에치추 지진 | 7.0-7.4 | 1,541명 | 니가타 |
1828년 12월 18일 | 에치고 산죠 지진 | 6.9 | 1,681명 | 니가타 |
1858년 2월 26일 | 히에쓰 지진 | 7.1 | 209명 | 후쿠이·이시카와·도야마 |
1891년 10월 28일 | 노우비 지진 | 8.0 | 약 7,300명 | 후쿠이 |
1948년 6월 28일 | 후쿠이 지진 | 7.1 | 3,769명 | 후쿠이 |
1952년 3월 7일 | 다이세이지 앞바다 지진 | 6.5 | 7명 | 후쿠이·이시카와 |
1961년 8월 19일 | 기타미노 지진 | 7 | 8명 | 후쿠이·이시카와 |
1963년 3월 27일 | 에치젠미사키 앞바다 지진 | 6.9 | 0명 | 후쿠이 |
1964년 6월 16일 | 니가타 지진 | 7.5 | 26명 | 니가타 |
1993년 2월 7일 | 노토 반도 앞바다 지진 | 6.6 | 0명 | 이시카와 |
2004년 10월 23일 |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 6.8 | 67명 | 니가타 |
2007년 3월 25일 | 헤이세이 19년 노토 반도 지진 | 6.9 | 1명 | 이시카와·도야마 |
2007년 7월 16일 | 니가타현 주에쓰 앞바다 지진 | 6.8 | 15명 | 니가타 |
2024년 1월 1일 | 레이와 6년 노토 반도 지진 | 7.6 | 221명[13] | 전역 |
'''기상 재해'''
발생 기간 | 재해명 | 주요 피해 지역 |
---|---|---|
1961년 9월 15일 - 17일 | 제2 무로토 태풍 | 북륙 전역 |
1962년 12월 - 1963년 2월 | 쇼와 38년 1월 폭설 | 북륙 전역 |
1964년 7월 17일 - 20일 | 쇼와 39년 7월 산인 북륙 호우 | 이시카와·도야마 |
1965년 9월 13일 - 15일 | 오쿠에쓰 호우 | 후쿠이 |
1967년 8월 26일 - 29일 | 하에쓰 호우 | 니가타 |
1980년 12월 - 1981년 3월 | 56호 폭설 | 북륙 전역 |
1983년 12월 - 1984년 3월 | 쇼와 59년 폭설 | 북륙 전역 |
2004년 7월 12일 - 13일 | 헤이세이 16년 7월 니가타·후쿠시마 호우 | 니가타 |
2004년 7월 17일 - 18일 | 헤이세이 16년 7월 후쿠이 호우 | 후쿠이 |
2005년 12월 - 2006년 2월 | 헤이세이 18년 폭설 | 후쿠이·니가타 |
2005년 12월 22일 - 23일 | 니가타 대정전 | 니가타 |
2006년 7월 15일 - 24일 | 헤이세이 18년 7월 호우 | 후쿠이·이시카와 |
2011년 7월 26일 - 30일 | 헤이세이 23년 7월 니가타·후쿠시마 호우 | 니가타 |
호쿠리쿠 지방은 동해 연안에 위치하여, 고대부터 일본 중앙과는 다른 독자적인 세력으로서 반쯤 독립된 역사를 걸어왔다.[12] 고대에는 고시노쿠니라 불리는 세력이 존재했으며, 야마토 왕권의 확장과 함께 점차 중앙의 통치 체제 안으로 편입되었다. 중세에는 정토진종 신앙이 널리 퍼져 강력한 종교적 기반을 형성하였고, 이는 때때로 민중 봉기로 이어지기도 했다. 전국 시대에는 여러 다이묘들이 패권을 다투는 주요 무대가 되었다.
3. 역사
3. 1. 고대
고대의 호쿠리쿠 지방(北陸地方)은 '''越国'''(越国|こしのくに일본어) 또는 '''육도'''(陸路|くぬがのみち일본어)라 불렸으며, 일본 중앙과는 별개의 독자적인 세력을 이루었다.[12] "고시노쿠니(越国)"라는 명칭이 있었지만, 당시 야마토 왕권의 영향력 밖에 있었고 관련 기록이 부족하여 통일된 국가 형태였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전설 속의 거대한 뱀인 야마타노오로치(八岐大蛇)가 고시노쿠니에서 나타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이즈모 왕권(出雲王権)의 특징적인 무덤 양식인 사우돌출형 분구묘(四隅突出型墳丘墓)가 도야마현이나 후쿠이현 등지에서 발견되는 점, 니가타현 중부에 이즈모자키(出雲崎)와 같은 지명이 남아있는 점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이즈모 문화(出雲文化)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으로 보인다.
야마토 왕권에서 파견된 오히코노미코토(大彦命)가 고시노쿠니를 다스리기 시작하면서 점차 중앙 집권 체제에 편입되기 시작했다. 고대에 호쿠리쿠 지방 각지에는 다음과 같은 구니노미야쓰코(国造, 국조)가 설치되었다.
국조명 | 설치 지역 (현대 행정구역 기준) |
---|---|
다카시후카에노쿠니노미야쓰코 | 니가타현 |
구비키노쿠니노미야쓰코 | 니가타현 |
사도노쿠니노미야쓰코 | 니가타현 (사도섬) |
이미즈노쿠니노미야쓰코 | 도야마현 |
노즈노쿠니노미야쓰코 | 이시카와현 (노토반도) |
하쿠이노쿠니노미야쓰코 | 이시카와현 |
가기노쿠니노미야쓰こ | 이시카와현 |
가노쿠니노미야쓰코 | 이시카와현 |
다카시노쿠니노미야쓰코 | 이시카와현 |
에누마노쿠니노미야쓰코 | 이시카와현 |
미쿠니노쿠니노미야쓰코 | 후쿠이현 |
쓰노시카노쿠니노미야쓰코 | 후쿠이현 |
와카사노쿠니노미야쓰코 | 후쿠이현 |
야마토 왕권이 중앙 집권적 통일 국가를 형성하면서, 수도인 기나이(畿内)를 방어하기 위해 주변 지역에 관소(関所)를 설치했다. 당시 동쪽 방면의 주요 관소였던 삼관(三関)은 도카이도의 스즈카 관(鈴鹿関)(스즈카 고개(鈴鹿峠)), 도산도의 후와 관(不破関)(세키가하라(関ヶ原)), 그리고 호쿠리쿠도의 '''아라치 관(愛発関)'''(아라치 산(愛発山))을 가리켰다. 이를 통해 율령제 시대에는 와카사국(현재 후쿠이현 레이난 지역) 동쪽의 동해 연안 지역이 고시노쿠니(越国)로 인식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시노쿠니는 야마토 왕권의 세력권에 편입된 이후, 더욱 상세하게 세 개의 영역으로 나뉘었다. 율령국 시대의 고쿠후(国府, 국부) 위치를 보면, 에치젠국은 다케후(武生), 엣추국은 후시키(伏木)(현재 다카오카시 북부), 에치고국은 나오에쓰(直江津)(현재 조에쓰시 북부)에 설치되었다. 이 국부의 위치를 통해 당시 야마토 왕권의 지배 영역이 동쪽으로는 대략 니가타현의 조에쓰 지방(上越地方)까지 미쳤으며, 그 이북 지역은 아직 야마토 왕권의 직접적인 통치 밖에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후 야마토 왕권은 지배 영역을 북쪽으로 더욱 확장하여, 자연적인 요새인 네즈가세키(鼠ヶ関)와 에치고 산맥을 경계로 삼아 호쿠리쿠도의 북쪽 끝으로 삼았다. 이 과정에서 기존 고시노쿠니 영역에서 데와국이 분리되어 새롭게 설치되었다. 또한 에치젠국에서 노토국이 분리되기도 했다. 노토국이 성립될 무렵 창건되어 무로마치 시대 말기까지 거대한 종교 도시로서 세력을 떨쳤던 헤이센지(平泉寺)는 이 시기 호쿠리쿠 지방의 독자적인 세력 집단 중 하나로 여겨진다.
3. 2. 중세
가마쿠라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에 걸쳐 북륙 지방은 정토진종의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 친란이 나오에쓰로 유배되고, 이후 렌뇨가 활발히 교세를 확장하면서 불교, 특히 정토진종 세력이 크게 성장하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가가의 일향일기나 엣추의 일향일기와 같이 신도들이 중심이 된 봉기가 일어나기도 했으며, 에이헤이지와 같은 유명 사찰들도 이 지역에 자리 잡게 되었다. 한편, 정토종을 비판했던 닛렌 역시 사도로 유배되기도 하였다.전국 시대에 들어서면서 북륙 지방은 여러 세력의 각축장이 되었다. 각 지역의 주요 지배 세력은 다음과 같다.
특히 에치고 국의 우에스기 겐신과 가가 국의 일향일기 세력은 시리다리사카 전투 등에서 격렬하게 대립하였다. 혼노지의 변 이후에는 우에스기 카게카쓰(조에쓰), 신발다 시게이에(시모에쓰), 사사 나리마사(도야마), 마에다 도시이에(가나자와), 시바타 카츠이에(후쿠이) 등이 각 지역을 거점으로 삼았다.
3. 3. 에도 시대
에도 시대가 되면서 막번체제가 확립되었다. 도야마(엣추)는 노토와 함께 가가번의 직간접적인 지배하에 놓였다. "가가 백만석"이라 불린 마에다씨의 가가번을 비롯하여, 마에다가의 분가인 도야마번, 에치젠 마쓰다이라가의 후쿠이번, 마키노가의 나가오카번 등이 이 지역의 주요 번이었다. 정토진종에 대한 신앙심이 깊었던 호쿠리쿠 지방에서는 낙태나 영아 살해(間引き|마비키일본어)를 꺼렸기 때문에 인구 증가율이 높았고, 이는 전국 각지로 이주민을 보내는 배경이 되었다.[14]
수확된 쌀을 긴키 지방으로 운반하기 위한 해상 교통 수단으로 많은 북전선이 운항했다. 에도 시대의 호쿠리쿠도는 “호쿠리쿠 가도”라 불렸으며, 선광사 참배객들이 이용하는 길이기도 했다.
막말에 이르러 개국을 맞이하자, 니가타가 개항 5항 중 하나로 지정되어 번영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나가오카번 등 일부 번들은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가담하여 보신 전쟁에서 사쓰마·조슈 중심의 신정부군과 맞섰으나 결국 패배하였다.
3. 4. 메이지 유신부터 태평양 전쟁까지
에도 막부가 붕괴하고 메이지 정부가 중앙집권 국가를 수립하면서 폐번치현이 단행되어 많은 현이 새롭게 만들어졌다.현재의 니가타현 지역에는 초기 니가타현(하에쓰 지방), 아이카와현(사도섬), 카시와자키현(주에쓰 및 조에쓰 지방)이 별도로 존재했으나, 1873년 6월 10일에 모두 니가타현으로 통합되었다. 현재의 호쿠리쿠 3현 지역에는 신카와현(현재의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아시와현(레이호쿠)이 있었지만, 1876년 8월 21일에는 이들 모두 이시카와현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각지에서 분현 운동이 일어나면서, 1881년 2월 7일에는 이시카와현에서 레이호쿠 지역이 후쿠이현으로 분리되었고, 1883년에는 이시카와현에서 옛 신카와현 지역이 도야마현으로 다시 분리되었다. 레이난 지역은 1876년 8월 21일 이후 시가현에 속해 있었으나, 1881년 2월 7일 시가현에서 분리되어 후쿠이현에 편입되었다.
한편, 홋카이도 개척 과정에서는 비교적 인구가 많고 눈이 많은 설국(雪国) 환경에 익숙했던 호쿠리쿠 지방 출신자들이 대거 이주하여, 전체 이주민의 30% 이상을 차지하기도 했다.[15]
메이지 시대에 들어 철도가 건설되고 도쿄를 중심으로 한 육상 교통망이 정비되면서, 에도 시대까지 주요 교통 수단이었던 북전선(北前船)은 점차 쇠퇴하였다. 이로 인해 메이지 시대 이후 호쿠리쿠 지방의 경제는 육상 교통을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3. 5. 태평양 전쟁 이후
과거 호쿠리쿠 지방은 일본 내에서도 인구가 많은 지역 중 하나였다. 1876년 가나자와시 인구는 전국 5위로 요코하마시나 히로시마시보다 많았고,[16] 1945년 시점에서도 니가타현 인구는 전국 7위에 달했다.[17] 그러나 태평양 전쟁 이후 일본 경제 성장의 중심축이었던 태평양 벨트 지대에서 소외되면서 과소화가 심각하게 진행되었다.이러한 상황에서 니가타현 출신인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가 이끄는 정권은 '태평양 벨트 지대와의 격차 시정'을 내걸고 국토 균형 발전을 추진했다. 이 정책의 일환으로 조에쓰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 호쿠리쿠 자동차도 등의 건설이 계획되었으며, 호쿠리쿠 공업 지대도 형성되었다. 특히 신칸센 건설에는 다나카 총리의 정치적 영향력이 작용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18][19] 이러한 개발을 통해 호쿠리쿠 지방은 기존의 '농업 지역'에서 '농공 병용형 지역'으로 변화하며 일본해 연안 최대 규모의 공업 지역으로 성장했다. 한편, 다나카 정권 시기에 제정된 전원 삼법은 원자력 발전소가 밀집한 지역, 이른바 '원전 긴자'가 형성되는 기초를 마련하기도 했다.[20]
헤이세이 시대에 들어서는 호쿠에쓰 급행 호쿠호쿠 선, 호쿠리쿠 자동차도가 전 구간 개통되었고, 호쿠리쿠 신칸센이 가나자와역까지 연장되는 등 교통망이 더욱 확충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국 평균보다 빠른 속도로 인구 감소가 진행되었다.[21]
레이와 시대인 2024년 1월 1일에는 노토 반도를 진원으로 하는 레이와 6년 노토 반도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노토 반도 일대에 대지진 해일 경보가 발령되는 등 큰 피해를 겪었다.
4. 문화와 방언
호쿠리쿠 지방은 지리적 위치와 기후적 특성으로 인해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였다. 식문화에서는 서일본과 동일본의 특징이 혼재되어 나타나며, 지역별로 선호하는 어종에 차이를 보인다. 또한 세계적으로 눈이 많이 내리는 기후는 검은 유약 기와를 사용하거나, 간목조, 산거촌과 같은 독특한 건축 및 주거 형태를 발전시키는 배경이 되었다. 언어적으로도 지역에 따라 다양한 방언이 사용되고 있다.
4. 1. 식문화
사도 섬과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등 호쿠리쿠 지방 서부는 서일본의 방어 문화권 성격을 가지는 한편, 니가타현의 시모에쓰 지방과 츄에쓰 지방은 동일본의 연어 문화권 성격이 강하다.[22]4. 2. 건축 및 주거
호쿠리쿠 지방은 세계적으로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으로, 이러한 기후적 특성은 주거 환경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 지역의 전통적인 건축 및 주거 형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검은 유약 기와: 노토 반도와 사도가도, 도야마현, 니가타현 조추에쓰 연안 지역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전통적인 지붕 마감재이다.
- 간목조 (雁木造): 폭설 시 보행자의 통행을 돕기 위해 건물 1층 처마를 길게 내어 만든 눈 피난처이자 통로이다. 주로 상점가 등에서 볼 수 있다.
- 산거촌 (散居村): 가옥들이 서로 멀리 떨어져 흩어져 있는 독특한 주거 형태이다. 특히 도야마현의 도나미 평야에서 잘 나타나며, 각 집은 넓은 경작지에 둘러싸여 있다.
4. 3. 방언
방언 구분 | 사용 지역 |
---|---|
북오슈 방언 | 니가타현 시모에쓰 (아가노가와 이북) |
에치고 방언 | 니가타현 죠에쓰, 츄에쓰, 시모에쓰 (아가노가와 이남) |
호쿠리쿠 방언 | 니가타현 서쪽 끝, 사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 레이호쿠 |
킨키 방언 | 후쿠이현 레이난 |
5. 인구
(내용 없음)
5. 1. 인구 통계
일본 인구 조사 자료에 따르면,[3][4] 호쿠리쿠 지방의 인구는 1920년대 약 385만 명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2000년 약 561만 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0년에는 약 519만 명 수준으로 줄어들었다.2024년 기준 각 현의 인구는 다음과 같다.
도도부현명 | 순위 | 인구 | 비율 |
---|---|---|---|
니가타현 | 15 | 2,107,490 | 1.74% |
도야마현 | 37 | 999,476 | 0.82% |
이시카와현 | 33 | 1,101,105 | 0.89% |
후쿠이현 | 43 | 740,232 | 0.6% |
합계 | 4,948,303 | 4.05% |
5. 2. 주요 도시
호쿠리쿠 지방의 주요 도시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정령지정도시
- 니가타시: 호쿠리쿠 지방에서 유일한 정령지정도시이며, 인구 80만 명이 넘는 가장 큰 도시이다.
- 중핵시
- 가나자와시
- 도야마시
- 후쿠이시
- 특례시
- 나가오카시
- 조에쓰시
- 기타 인구 10만 명 이상의 도시
- 타카오카시
- 하쿠산시
- 코마쓰시
5. 3. 도시권
호쿠리쿠 지방의 주요 도시는 행정 구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정령지정도시: 니가타
- 중핵시: 가나자와, 토야마, 후쿠이
- 특별시: 조에쓰, 나가오카
이 중 니가타는 80만 명이 넘는 인구를 가진 호쿠리쿠 지방 최대 도시이다.
2015년 국세조사 기준 도시고용권(10% 도시권)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
순위 | 도시고용권 | 인구 |
---|---|---|
16 | 도야마 도시고용권 | 1066328 |
17 | 니가타 도시고용권 | 1060013 |
26 | 가나자와 도시고용권 | 747780 |
32 | 후쿠이 도시고용권 | 646813 |
54 | 나가오카 도시고용권 | 356767 |
78 | 죠에쓰 도시고용권 | 230186 |
82 | 고마쓰 도시고용권 | 222986 |
85 | 산죠 도시고용권 | 215037 |
- | 카시와자키 도시고용권 | 91608 |
- | 쓰루가 도시고용권 | 76079 |
- | 나나오 도시고용권 | 72896 |
- | 무라카미 도시고용권 | 68274 |
- | 토오카마치 도시고용권 | 64946 |
- | 오바마 도시고용권 | 53252 |
- | 이토이가와 도시고용권 | 44162 |
6. 산업
호쿠리쿠 지방은 화학, 의약품, 관광, 섬유, 중공업, 농업, 어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다. 2007년 기준 호쿠리쿠 4현의 현내 총생산 합계는 21.65조엔에 달하며,[23] 이는 아랍에미리트의 GDP와 비슷한 수준으로, 세계 35위권 국가에 해당하는 경제 규모이다.[24] 풍부한 수자원은 농업과 공업 발전에 중요한 기반이 되었으며, 전통공예 또한 지역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한다. 가구당 자가용 보급률이 높아 차 사회의 특징을 보인다.[21]
6. 1. 농업
호쿠리쿠 지방은 풍부한 눈 녹은 물을 이용한 관개용수 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해안의 석호(潟)를 간척하여 얻은 넓은 토지를 기반으로 일본의 대표적인 곡창지대를 이룬다. 이러한 환경 덕분에 벼농사가 활발하며, 특히 인기 쌀 품종인 고시히카리는 호쿠리쿠 지역의 대표적인 특산품이다. 쌀 생산량이 많아 일본주 양조장도 다수 분포하며, 지역을 상징하는 "越(고시)" 글자가 들어간 상표가 많다.농업과 함께 어업도 주요 산업 중 하나이다. 사도 섬과 도야마, 이시카와 등 호쿠리쿠 서부 지역은 서일본의 방어ブリ일본어 문화권에 속하는 반면, 니가타현의 시모에쓰 및 츄에쓰 지방은 동일본의 연어鮭일본어 문화권의 특징을 보인다.[22] 주요 수산 자원으로는 참다랑어와 대게 등이 어획되며, 특히 도야마 만은 정치망 어업이 발달한 어장으로 알려져 있다.
6. 2. 공업
호쿠리쿠 지방의 주요 산업으로는 화학, 의약품, 관광, 섬유 및 섬유 기계, 중공업, 농업, 어업 등이 있다. 특히, 인기 쌀 품종인 고시히카리는 호쿠리쿠 지역의 특산품이다.과거 석유 수입이 본격화되기 전, 호쿠리쿠 지방은 풍부한 수자원을 이용한 수력발전을 일찍부터 개발했다. 이는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중공업 발전에 유리한 조건이 되었다. 풍부한 수자원과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 또한 북륙공업지대가 도야마만 연안과 조에쓰시 주변을 중심으로 발전하는 데 기여했다.
현재에도 북륙전력은 전국적으로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어[25] 산업 경쟁력 유지에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풍부한 수자원은 반도체 산업과 같은 첨단 산업에도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가나자와의 금박이나 사바에의 안경과 같은 경공업도 발달했다. 겨울철 부업으로 시작된 칠기, 직물, 화지 등의 전통공예 역시 지역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6. 3. 상업
호쿠리쿠 지방은 가구당 자가용 승용차 보급률이 매우 높은 차 사회이다.[21] 이러한 높은 자동차 보급률을 바탕으로 로드사이드숍 형태의 상점이 발달했으며, 상업 지역이 교외로 분산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대규모 교외형 쇼핑센터의 진출 역시 활발하여, 그 규모는 관동 지방에 이어 두 번째 수준이다.6. 4. 언론
(NHK G)(NNN・NNS)
(ANN)
(JNN)
(FNN・FNS)
1
(TeNY) 4
(UX) 5
(BSN) 6
(NST) 8
3
(KNB) 1
(TUT) 6
(BBT) 8
1
(KTK) 4
(HAB) 5
(MRO) 6
(ITC) 8
1
(FBC) 7
(FTB) 8